커피 원두 종류와 특징, 그리고 맛의 차이
커피는 원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커피 원두의 종류와 각 원두가 가지는 특징,
그리고 맛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아라비카(Arabica)
특징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70% 차지
해발 600~2000m의 고지대에서 재배됨
병충해에 약하지만 섬세한 맛과 향을 가짐
맛
신맛이 풍부하며 단맛이 조화를 이룸
꽃향기, 과일향, 초콜릿, 견과류의 풍미가 특징
바디감이 부드럽고 깔끔한 후미를 가짐
2. 로부스타(Robusta)
특징
아라비카보다 낮은 해발(200~800m)에서 재배됨
병충해에 강하고 카페인이 아라비카보다 2배 많음
강한 쓴맛과 묵직한 바디감
맛
쓴맛이 강하고 바디감이 무거움
견과류, 초콜릿, 흙 내음과 같은 깊은 풍미
에스프레소 블렌드나 인스턴트 커피에 자주 사용됨
3. 리베리카(Liberica)
특징:
서아프리카 원산으로 생산량이 적음
나무 크기가 크고, 타 원두보다 과일 향이 강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등에서 주로 소비됨
맛:
과일 향과 꽃 향이 독특하게 강함
아라비카보다 더 깊고 복합적인 풍미
바디감이 강하고 약간의 스모키한 향이 있음
4. 엑셀사(Excelsa)
특징
리베리카의 아종으로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됨
생산량이 적고 희귀한 원두
독특한 신맛과 강한 향미
맛
자몽 같은 신맛과 다크 초콜릿 같은 쓴맛이 조화로움
상큼하면서도 깊은 풍미를 가짐
바디감이 중간 정도로 균형 잡힘
5. 게이샤(Geisha)
특징
에티오피아에서 기원하여 파나마에서 유명해진 고급 원두
재배가 까다롭고 가격이 비싼 프리미엄 커피
독특한 향과 풍미로 세계적으로 인기
맛
재스민, 베르가못, 패션프루트 같은 화려한 향
신맛이 우아하며 단맛과 균형이 좋음
부드러운 바디감과 깔끔한 후미
6. 부르봉(Bourbon)
특징
아라비카의 한 품종으로 프랑스 부르봉 섬에서 유래
주로 브라질, 르완다, 엘살바도르에서 재배됨
생산량이 적지만 풍미가 뛰어남
맛
부드러운 단맛과 우아한 산미
캐러멜, 초콜릿, 견과류의 깊은 풍미
중간 바디감과 부드러운 질감
7. 카투라(Caturra)
특징
부르봉의 돌연변이 품종으로 중남미에서 많이 재배됨
생산량이 많고 재배가 용이
크리미한 질감과 균형 잡힌 맛
맛
적절한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짐
캐러멜, 초콜릿, 견과류의 향이 특징
바디감이 중간 정도로 부드러움
8. SL28 & SL34
특징
케냐에서 개량된 아라비카 품종
강한 내구성과 우수한 컵 프로파일로 유명
고지대에서 재배되어 강한 개성을 가짐
맛
밝은 산미와 깊은 단맛이 특징
블랙커런트, 감귤류, 와인 같은 복합적인 풍미
깔끔한 후미와 긴 여운
9. 케냐(Kenya AA)
특징
아프리카에서 가장 유명한 고품질 커피
해발 17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됨
크고 단단한 원두로 강한 풍미 보유
맛
밝고 강한 신맛과 깊은 단맛
블랙커런트, 시트러스, 포도와 같은 과일 향
강한 바디감과 와인 같은 후미
10. 예가체프(Yirgacheffe)
특징
에티오피아의 대표적인 스페셜티 커피
해발 1800~2200m의 고지대에서 재배됨
수세식 가공으로 깨끗한 맛과 향 보유
맛
복합적인 꽃향기와 시트러스 계열의 신맛
티 같은 부드러움과 우아한 바디감
베르가못, 자스민, 레몬 같은 아로마틱한 향
어떤 원두를 선택할까?
신맛과 부드러움을 원한다면?
아라비카, 게이샤, 부르봉, 예가체프
강한 바디감과 쓴맛을 원한다면?
로부스타
이국적이고 독특한 풍미를 원한다면?
리베리카, 엑셀사
고급스럽고 프리미엄 커피를 원한다면?
게이샤, SL28 & SL34, 케냐 AA
커피 원두의 종류와 특징을 알면
나에게 맞는 커피를 더욱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두를 테스트해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커피를 찾아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하고 맛있는 땅콩 이야기 (0) | 2025.04.01 |
---|---|
미세먼지 심한 날, 삼겹살 먹으면 효과가 있을까? (0) | 2025.03.31 |
채식주의자의 종류와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5.03.28 |
건강한 하루를 여는 과일 & 야채 주스 레시피 🍹 (1) | 2025.03.27 |
재미로 보는 얼굴에 난 점 위치별 의미 (2) | 2025.03.25 |